일본을 모델로 삼은 개화파 지식인 조선뿐만 아니라 중국과 베트남의 청년들에게도 당시 일본은 이상적인 국가였다.
위로부터의 강제가 아니라 아래로부터의 요구가 분출하는 민주정부의 교체와 함께 선진국 진입을 이루었으니 한국민 스스로 자부심을 느끼기에 충분하다.한반도 비핵평화의 문제 역시 마찬가지다.
라틴아메리카·동남아·중앙아시아·중동·북아프리카의 많은 나라에서 민주화 이후 극도의 정치 불안정에 빠져들거나 만성 소요사태.김영삼과 김대중의 연합적 민주주의를 말한다.노동을 포함한 사회경제 개혁 분야의 실패와 외환위기가 대표적이었다.
민주화 초기의 연합적 민주주의를 통해 시대 의제를 넘고 오늘의 틀을 정초했던 경로를 돌아보자.1997년 대선에서 김대중 후보에 대한 비자금 수사 요구의 불수용을 통한 민주선거의 보장 역시 지역과 진영.
타협과 연합과 지속성이 확보되지 못한 영역의 유산은 정반대였다.
또는 군부의 재집권을 허용한 민주주의 역진 경로를 밟은 사례들과 비교할 때 한국의 철저한 군부 유산 극복과 병영으로의 복귀는 놀라운 것이었다.전직 대통령 부패처벌을 포함하여 청렴정치를 추구하였다.
민주화의 임계점과 회귀불능점(回歸不能點)을 확고부동하게 넘은 것이었다.문민정부 30주년의 의미는 거기에 있다.
1993년 2월 한국은 30년에 걸친 군인 출신 대통령 시대를 끝내고 김영삼 대통령이 이끄는 문민정부를 출범시켰다.김대중은 완성자 이들 영역에서 한 사람이 개척자였다면 한 사람은 완성자였다.
Copyright © Powered by |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美 3월 제조업 PMI 55.3…월가 예상 상회(종합) |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