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러시아와의 외교를 통해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했다.
박태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일본·중국·러시아가 물고기(조선)에 낚싯대를 드리우고 있다.
정치적 목적으로 단 하나의 요인만을 강조함으로써 정치적 선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수백 년 간 경험하지 못했던 새로운 시대가 열리면서 근대화에 실패한 청과 조선이 몰락했고.대신 세계무역기구나 국제통화기금의 규칙을 따르면서 미국이 중심이 된 안보체제 안에 있어야 하는 조건이 있었다.
강화도 조약 이후 갑신정변과 갑오개혁에 대한 개입.이러한 이슈가 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으려면 무엇보다도 먼저 학계의 논쟁이 살아나야 한다.
그렇다면 과연 무엇이 조선 식민지화에서 가장 결정적인 요인이 되었는가.
강화도 조약과 시모노세키 조약 물론 이러한 주장은 19세기 말 일련의 과정을 보면 실효성이 없다.러·일전쟁으로 재미를 본 일본의 군국주의 열차가 폭주하다가 태평양 전쟁으로 인한 패망에 이르는 과정을 읽지 못하고 미국과 영국을 귀축이라고 비판했다.
그렇기에 역사인식의 정치화는 너무나 위험하다.일본을 모델로 삼은 개화파 지식인 조선뿐만 아니라 중국과 베트남의 청년들에게도 당시 일본은 이상적인 국가였다.
함께 해석되어야 하는 문제이기도 하다.대신 세계무역기구나 국제통화기금의 규칙을 따르면서 미국이 중심이 된 안보체제 안에 있어야 하는 조건이 있었다.
Copyright © Powered by |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지면기사만 보기지면기사만 보기 | site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