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곡의 참선비론을 보자.
러·일전쟁으로 재미를 본 일본의 군국주의 열차가 폭주하다가 태평양 전쟁으로 인한 패망에 이르는 과정을 읽지 못하고 미국과 영국을 귀축이라고 비판했다.한국 역사학계에서 사회적 관심을 끄는 논쟁이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권에서 논쟁이 시작되었으니 감사하다고 해야 할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나 과연 당시의 상황에 대해서 정확히 인식을 하면서 논쟁이 진행되었는지 의문이다.학계와 시민사회의 거리를 좁힐 때 더 이상 역사가 정치적으로 이용되지 않을 것이다.부국강병을 위한 개혁도 이미 너무 늦었다.
결과적으로 볼 때 근대화의 성공이 제국으로.단지 두 조약 간의 차이는 조선이 독립국임을 청나라가 인정한다는 내용이 강화도 조약에는 없는데.
일본을 모델로 삼은 개화파 지식인 조선뿐만 아니라 중국과 베트남의 청년들에게도 당시 일본은 이상적인 국가였다.
근대화의 실패가 식민지화와 반(半)식민지화를 야기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군부의 정치개입부터 막아 가장 높게 평가해야 할 성취는 군부 권위주의 유산의 극복이었다.
서로 다른 비전과 정책의 존재 이유는 너무 당연하다.군부의 긴 정치참여와 집권경험.
민주화 초기의 연합적 민주주의 정신과 정치를 돌아보길 호소한다.그러나 그 둘은 경쟁자들을 이러한 문제로 처벌하지 않았다.
Copyright © Powered by | 대체역사 마이너 갤러리|LG전자, ‘홈브루 LG트윈스 챔피언 패키지’ 출시 | sitemap